삼채 모종 심는 시기,삼채 재배법/삼채뿌리 수확시기
삼채 재배법
삼채(Hooker chives, garlic chives)는 부추속 부추과 식물로 미얀마, 부탄, 스리랑카, 인도, 중국 시난, 티베트가 원산지입니다. 생긴 모양이 부추에 긴 뿌리가 달린 것처럼 생겨 뿌리 부추로 불리기도 한다.
삼채는 마늘과 파, 부추 맛이 동시에 나기도 하지만, 단맛과 매운맛, 쓴맛이 난다고 하여 삼미채라고도 하며, 뿌리에서 인삼 냄새가 난다고 해 삼채라고 부른다.
국내에서 삼채 재배법은 보통 이른 봄부터 4월경에 파종하며, 잎의 경우 한여름을 피해서 5~7월에 2번, 10월 전후 한 번, 일 년에 총 3번 수확을 한다.
뿌리의 경우 10월 상순을 기점으로 수확하는데, 삼채에 있는 식이유황 성분이 겨울철에는 뿌리 쪽으로 많이 옮겨져 겨울철에 더욱 신선하고 건강하게 즐길 수 있다. 봄에 싹이 돋아난 후에는 삼채 잎을 활용해 효소를 만들어 사용하면 좋다.
삼채는 잎채소이기 때문에 잎이 마르면 잘 자라지 않아 하루에 1-2회 정도 물을 주는 것이 좋으며, 물을 줄 때에는 분무기를 사용하여 잎에 물을 가볍게 뿌려주는 것이 좋다. 또한, 삼채는 토양의 영양분이 충분해야 하기 때문에, 재배 시 토양에 영양분을 골고루 섞어줘야 하며, 퇴비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삼채 재배법 이다.
삼채 재배환경
원산지가 고랭지이고 영하 -25도까지 월동이 가능한 삼채는 폭염에 약하고 그늘진 환경을 좋아한다. 여름 최고 기온이 35 ℃가 넘는 경우 잎이 타거나 고사의 위험성이 있어 물관리와 그늘진 환경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내의 여름 환경으로 볼 때 중북부나 산간기후가 재배에 적합하다. 또한 일교차가 큰 지역에서 뿌리의 생육환경이 좋고 품질 또한 뛰어나다.
토양
-마사토나 물 빠짐이 좋은 모래가 섞인 사질양토가 적합하다.
-토심이 깊어 뿌리가 잘 내릴 수 있는 곳이 좋다.
-습기가 많은 토양은 피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두둑을 30cm 이상 높게 만들어 배수를 개선해야 한다
밭 만들기
삼채는 거름을 많이 필요로 한다. 밑거름으로 유박비료나 잘 발효된 유기질 비료를 충분히 사용해야 한다.
뿌리 발달을 위해 완효성 복합비료도 함께 시비한다.
8월 말부터는 뿌리 성장에 좋은 영양제를 1-2회 웃거름으로 주는 것이 좋다.
밑거름을 주고 너비 1.2~1.4m 정도, 높이 25cm 이상 두둑을 높게 만들고 멀칭비닐을 씌운다. 비닐 멀칭을 하면 내리는 비로 인하여 두둑과 경지토양이 씻겨나가는 것을 막는 효과(토양침식방지)가 클 뿐 아니라, 잡초억제, 지온조절, 토양수분유지, 토양오염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
단, 6월 중순이후에는 비닐멀칭을 제거해야 한다.
여름에 높아진 토양의 온도로 인해 삼채가 죽는 것을 막기 위해 토양 온도를 낮추는 작업이며 이때 비닐 멀칭을 제거해주면 삼채가 죽지않고 , 삼채의 발육에도 좋다.
삼채 심는시기
먼저 삼채의 심는시기로 좋은 때는 3월 초 언 땅이 녹기 시작할 때 이다.
이 시기에 삼채를 심으면 활착이 빠르기 때문인데 보통 4월 중순까지 심는 것이 좋지만 4월 말까지 심는 경우도 있다.
노지 삼채 심는시기는 남부지방은 3월 초부터, 중부지방 삼채 심는시기는 3월 말부터 식재하기 시작한다. 더 늦어질수록 활착(착근)이 늦어지고 수확량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지만, 강원도와 경기 북부 지방은 늦은 폭설을 대비해서 안전하게 4월 말에 식재하기도 한다.
모종으로 식재할 경우에는 5월에서 6월까지도 가능하다. 잎은 년 3-4회 수확할 수 있으며 뿌리는 가을에서부터 이른 봄까지 채취가 가능하다.
노지재배시 가을(10~11월)에 모종을 심는 방법도 있다. 잎이 어느 정도까지 자라다가 기온이 떨어지면 잎이 고사하게 되고, 그 후 월동(겨울나기)을 시키면 봄식재시보다 훨씬 빨리 싹을 틔울 수 있기에 잎이나 뿌리수확도 그만큼 앞당겨진다고 볼 수 있다.
삼채 심는방법
삼채는 주로 종근이나 모종으로 심는다.
종근은 눈이 2~3개 붙은 것을 사용하며, 뿌리는 그대로 심는 것이 좋다.
삼채의 경우 뿌리가 땅속 깊이 발육하는 식물이므로 퇴비를 최대한 깊게 넣어주는 것이 좋다.
삼채 종근의 경우 심을 때는 종근 2~4개를 1포기로 심는게 좋다.
실평수 약 1평당 종근 40~50개 가량을 심는게 적당하다.
1주당 심는 간격은 20 X20 cm를 권장 하고 두둑의 높이는 25~30cm로 하고 식재는 모종삽이나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3-5cm 깊이로 흙을 벌리고 삼채종근이나 모종을 심고 멀칭 비닐위에 흙이 약간 올라올 정도로 다시 덮어주도록 한다.
(온도와 습도가 적당한 경우 보통 2주 정도면 싹이 나온다)
모종으로 식재할 경우에는 고추 식재할 때처럼 흙을 약간 북돋아 주면 좋다.
종근의 경우에는 여의치 않으면 식재시 물을 주지 않아도 되나 모종으로 식재할 경우 물을 주어야 된다.
물관리
삼채종근(모종)을 심은 후 3~5일에 한 번 정도로 물주고, 여름철에는 수분증발을 고려해서 이보다 더 자주 듬뿍 주어야 한다. 삼채는 물을 상당히 좋아하는 작물이라서 한번 줄 때는 뿌리 밑까지 수분이 닿도록 충분히, 또 고랑에 물이 찰 만큼 듬뿍 주는 것이 좋다.
하지만 장마철이나 태풍에 며칠 씩 물이 고여 있어서는 안되므로, 두둑을 25cm 이상 높게 쌓고 고랑도 깊이 파는 등 배수에도 각별히 신경을 써야한다.
병충해 관리
한 여름인 7월 중순에서 8월 말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잎무름병은 고온에서 쉽게 발생하는데 잎 무름 병은 차광막을 설치하고 바람이 잘 통하게 관리하면 된다.
마그네슘 부족에서 발생하는 잎마름병은 마그네슘을 옆면 시비를 통해 개선할 수 있다.
삼채에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으로는 고자리파리와 뿌리응애 등이 있다.
삼채 수확시기와 방법
삼채를 수확할 때에는 삼채의 잎과, 삼채뿌리 모두 수확이 가능한데 심은후 2개월 이내의 부드러운 어린잎과 줄기는 파, 마늘, 줄기 등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 여름철에 올라오는 꽃대(쫑)는 마늘쫑처럼 여러 용도로 사용할수 있다.
삼채의 수확 시기는 다음과 같다.
삼채뿌리 수확시기
가을: 서리가 내린 후가 가장 적합하다. 이 시기에 뿌리의 비대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늦가을(11월)부터 이듬해 2~3월까지 수확할 수 있다.
봄: 겨울을 지나고 4월 중순부터도 수확이 가능하며, 이때 수확한 뿌리는 가을 수확보다 15~20% 더 길고 굵다.
잎 수확
여름~가을: 삼채 잎은 초여름(6월)부터 초가을(8월)까지 3~4회 수확할 수 있다. 잎은 생장이 활발할 때, 즉 지상 20cm 이상 자랐을 때 잘라내는 것이 좋다.
삼채는 뿌리, 잎 모두 식용 가능하다.
잎줄기는 일 년에 3~4회 정도 잘라먹을 수 있고 봄에는 꽃을 피우기 때문에 꽃이 필쯤에 삼채는 연해서 반찬으로 만들어 먹는다.
뿌리는 가을이나 이듬해 봄에 뿌리를 수확하여 잘라 사용하고 뇌두 부분은 다시 봄에 심어 처음처럼 키우면 된다.
삼채 효능 10가지
삼채 효능과 부작용,삼채뿌리 효능삼채 효능삼채는 단맛, 매운맛, 쓴맛의 3가지 맛이 난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삼채는 특히 삼채 뿌리에는 식이유황성분이 양파의 2배 그리고 마늘의 6배나 함
korea.date.or.kr
삼채 요리법 (잎,뿌리 먹는방법)
삼채잎 요리법,삼채 뿌리 먹는방법삼채 요리법삼채는 잎과 꽃, 줄기, 뿌리까지 모두 활용이 가능하다. 조미료 감미료로 으뜸이고 요리에도 폭 넓게 쓸 수 있다.삼채 요리법으로는 삼채 된장찌
korea.date.or.kr
'특약용작물재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릅나무 삽목법,두릅 삽목 시기 번식 방법 (0) | 2025.02.22 |
---|---|
유채꽃 파종시기 개화시기 (1) | 2025.02.16 |
비트 파종(심는)시기 재배방법 (봄,가을) (0) | 2025.02.16 |
산마늘(명이나물) 재배법 모종 심는시기,산마늘 씨앗 파종방법 (0) | 2025.02.14 |
눈개승마 재배법 모종 심는 시기 방법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