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마늘(명이나물) 재배법,산마늘 씨앗 파종시기/모종 심는시기와 방법
산마늘(명이나물) 재배법
여름 고사현상 방지가 재배 관건
해발 1,000m 이상 되는 고산지대와 울릉도 숲 속의 서늘한 지역에서만 자생하기 때문에 서늘한 기후조건이 우선적이다.
표고 600m 이상의 고산지역에서 재배돼왔기 때문에 일반 저지대의 경우 한여름철의 고온으로 인한 여름고사현상을 막는 것이 중요한 재배 관건이다.
일반지에서는 봄철 햇빛을 충분히 받아 따뜻하고, 여름철에는 그늘지고 청량한 습기가 있는 환경이 좋다.
재배지 토양은 pH5.3 정도의 약산성으로 활엽수의 낙엽이 잘 부식된 유기물 함량 11~13% 정도로 매우 많고 칼슘 함량이 높아야 한다.
일반 밭재배의 경우 자연조건을 충족할 수 없지만 유기물이 많아 비옥하며 배수가 잘되는 사질 양토인 곳이 좋다. 토양수분은 다소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 잘 자란다.
산마늘(명이나물) 재배법은 씨앗재배법과 포기나누기 산마늘 재배법이 있다.
산마늘은 3-4년생 이상이 되어야 개화 결실이 되는데 산마늘의 채종적기는 7월 중하순경 화구 상부의 과피가 열개하기 시작하고 하부의 과피는 황색으로 엷어지기 시작할 때이며 종자가 익어 떨어지기 전에 해야 한다.
채종을 목적으로 할 때는 잎을 수확하지 않고 생육시키는 것이 좋다.
산마늘 씨앗 재배법은 수확할 때까지 3-4년이 걸리는데 비해 포기나누기는 당년에도 수확이 가능하다.
종구는 3-4년 정도된 산마늘의 인경으로 흡사 그물눈과 같이 생긴 섬유질로 덮여 잇는데 이것을 3-4개로 쪼개어 채취하면 된다.
산마늘(명이나물) 씨앗채취,파종방법
채종을 목적으로 할 경우는 잎을 수확하지 않고 생육시키는 것이 좋다. 7-8월 경 씨앗이 70-80 퍼센트 익었을때 씨앗을 따서(씨앗이 까맣게 익어서 파종 은 금물) 바로 파종하거나 양파자루에 모래와 1:1 비율로 섞어서 땅속에 묻어 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하면 발아시킬 수 있다.
산마늘 씨앗 파종시기
봄 산마늘(명이나물) 씨앗 파종시기: 3월 ~ 5월 중순 까지
가을 산마늘(명이나물) 씨앗 파종시기: 8월 하순 ~ 10월 중순
산마늘(명이나물) 씨앗은 채종 즉시 파종하는 것이 발아율이 가장 높으나 부득이 저장하였다가 파종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씨앗이 마르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여야 한다.
산마늘(명이나물) 씨앗 파종시기는 8월~10월 중순 이며 봄에 파종할 경우에는 채종즉시 모래와 1:1비율로 층적처리를 하여 노천매장을 실시한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하면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산마늘(명이나물) 씨앗 파종방법은 가을이나 봄에 하며 파종하기 전에 씨를 하루밤 물에 불려서 자루에 넣어 섭씨 2-5도의 냉장고에 넣어서 약 30일 정도 휴면을 시킨 후에 뿌린다. 이렇게 하면 발아를 촉진시킬수 있다.
산마늘 씨앗 파종방법
산마늘 상자 파종방법 산마늘 흩어뿌림 파종방법 산마늘 줄뿌림 파종방법
산마늘(명이나물) 씨앗 파종방법은 여러방법이 있다. 파종상을 유기물이 많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에 1m20cm 너비의 이랑을 만들고 10cm 간격으로 줄뿌림을 한 다음 얇게 복토하며, 그 위에 왕겨를 2∼3cm 덮거나 짚을 덮은후 차광망을 씌워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모판을 만들어 산마늘 씨앗을 파종하고 2년 지난 가을이나 다음해 봄에 옮겨 심는다. 옮겨 심을때는 3뿌리 정도 합해서 좌우 한뻠 정도 간격으로 심으면 좋다.
산마늘 씨앗 파종을 할 경우 첫해에 한잎의 잎만 나오고 다음해에 두장의 잎이, 3년째 세장의 잎이 나오게 된다.
산마늘(명이나물) 모종 심는시기와 방법
밑거름은 본밭 정지 작업시 30펑당 퇴비 300kg, 계분 20kg 정도 시용하고, 생육기간 중 웃거름 시용효과는 거의 없기 때문에 이른 봄 생육이 시작되기 7~10일 전 30평당 요소 1.7kg, 황산가리 1.2kg을 뿌리에 직접 닿지 않도록 포기사이에 시용한다.
밭을 갈기 전에 토양살충제를 살짝 뿌려주면 병충해 예방에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살짝 그늘지고 선선하고 약간 습한 조건이면 좋다.
종자로 육묘한 어린묘는 당해 가을 또는 이듬해 봄에 포장에 아주심기 하고, 분구 번식하는 종묘는 보통 가을에 아주심기를 한다.
- 가을 산마늘(명이나물) 모종 심는시기: 8월 하순~11월 (뿌리 활착이 빠르다)
- 봄 산마늘(명이나물) 모종 심는시기: 3~4월 하순 까지(뿌리 활착이 늦어 생육이 나쁘다)
- 부득이한 경우 해빙 직후 2월 중순 심는다.
산마늘 모종 심는 방법
한 구멍당 3~5개 정도의 모종을 모아서 심으면 된다. 깊이는 약 10cm 정도이며 간격은 사방으로 15~20cm 간격이 적당하다. 구근을 심고 물을 주기 보다는 심기 전 1~2시간 정도 물에 침지 후 심어주면 뿌리 활착이 잘된다.
거름은 산마늘 식재 후 바로 주는 것보다 몇 개월 후 가을쯤 주면 된다.
복토한 위에 짚이나 낙엽 등 지피물을 피복하면 겨울에 습도 및 보온유지에 좋고 풀이나지 않 아 일손을 줄여줄 수 있다.
화학비료를 줄 경우 토질을 산성화시키고 고자리병을 유발시켜 뿌리를 고사시킬 수 있으므로 발효된 유기질 퇴비나 부엽토 등을 주면 된다.
산마늘을 하우스에 재배할 경우 두둑을 120cm 간격으로 만들고 종근을 20cm 간격으로 식재한 후 왕겨를 3cm 정도 덮어준다. 100평에 8000주 정도 식재하면 적당하며, 조기 수확을 원할 경우 이중으로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면 4월 초순에도 수확할수 있다. 5월 중순경에 차광막을 설치해주면 통풍이 잘되도록 해주면 뿌리 발육에 좋다.
포기 나누기
- 정식 4~5년 후 포기당 줄기수가 10여개 이상 밀생하면 포기 나누기 시행한다.
- 이름 봄보다는 10월~11월에 정식 하는 것이 가장 좋다
- 봄에 할 경우 해빙 직후에 하여야 생육에 영향이 적다
- 굴취한 포기는 뿌리 3~4개씩 붙여 등분한다.
- 뿌리가 상하면 이듬해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가급적 상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산마늘의 포기나누기 방법



정식후 5년생 뿌리 상하지 않게 굴취 2~3개씩 분주
산마늘(명이나물) 재배 관리 방법
아주심기 후 2년부터는 산마늘 포기 사이에 지효성 또는 완효성 비료를 표층시비하고, 웃거름 주는 시기는 싹이 출현하기 전에 부산물비료를 30펑당 25kg 시용하면 토양개량 효과와 비효가 지속적으로 발휘되는 장점이 있다.
부숙되지 않은 유박 등 유기질비료를 공급할 경우 병해충 피해나 생리장해 발생우려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산마늘은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경 출현기부터 개화기 직전인 6월 중순까지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출현기 수분은 65~70%로 다습하게 관리하고, 개화기부터 결실기까지는 50~60%로 건조하게 관리해야 하고와 무름병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노지에서 차광없이 재배하는 경우도 있으나 산마늘 생산을 위해 4월 하순부터 해가림시설에서 30~50%로 차광하는데 경엽 신장을 촉진시켜 수량이 25~30% 정도 늘어나고 품질이 균일해 진다.
일부 농가에서는 차광을 위해 오미자 터널하우스 밑에 심거나, 산지의 수목 아래 심기도 합니다.
산마늘은 재배기간 중 낙엽이나 볏짚, 부숙왕겨, 우드칩 등 지피물을 덮어주는 것이 좋은데 낙엽이나 볏짚은 3~5cm 정도 피복해 주면 고온기에 온도 상승을 막아 뿌리 발달을 돕고, 토양수분을 적당하게 유지하며, 잡초 발생을 85%이상 줄이는 효과가 있다.
산마늘 피복재배


볏짚 피복 수피 피복
산마늘(명이나물) 수확시기와 방법
남부지방 산마늘(명이나물) 수확시기: 3월하순-4월상순
중북부지방 산마늘(명이나물) 수확시기 : 4월 중순-5월중순
산마늘은 남부지역은 3월 하순부터 4월 중순, 중북부지역은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수확하는데요. 쌈용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완전히 펴지지 않은 상태의 부드러운 잎을 수확하고, 장아찌용은 잎이 완전히 펴진 상태의 것을 수확한다.
수확할 때는 최소 그루의 아랫 잎 1장을 남기거나, 5년 이상된 포기 중 수확 줄기수가 15개 이상 될 경우 5개 정도 줄기를 남기고 수확하는데 수확시 인경구의 고사를 막기 위해 땅에서 약 6~11cm 이상의 줄기를 남기고 수확한다.
산마늘 수확 및 이듬해 재생 모습


5cm 남기고 수확 이듬해 재생
<산마늘(명이나물) 연화 재배법>
엽초경을 연백화하는 방법으로 연화재배를 하면 먹는 부위가 늘어나 수량이 많아지고 먹기에도 좋다.
싹이 올라오기 전에 왕겨를 6-10㎝ 정도 높이로 덮어 왕겨가 햇빛을 차단해 줌으로써 줄기와 잎을 연백화시켜 가식 부위를 많게 한다.
한여름 고온기에는 차광망을 씌워 하우스내 온도를 낮춰주는 것이 필수인데 수막시설을 추가하여 한여름과 한겨울 재배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 좋다.
'특약용작물재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채꽃 파종시기 개화시기 (1) | 2025.02.16 |
---|---|
비트 파종(심는)시기 재배방법 (봄,가을) (0) | 2025.02.16 |
눈개승마 재배법 모종 심는 시기 방법 (0) | 2025.02.13 |
더덕 씨앗 파종시기 재배 방법 (1) | 2025.02.13 |
도라지 파종시기 재배 방법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