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비트 씨앗 파종시기,비트 모종 심는시기,레드 비트 재배방법
비트 재배방법
비트 재배환경
비트의 원산지는 남부 유럽의 지중해 연안으로 비트(빨간 무)재배의 기원은 지중해 시칠리아 지역이라고 하며 비트(빨간 무)는 섭씨 13~18°C의 서늘한 기후에서 생육이 왕성한 호냉성 쌍떡잎식물로 22°C 이상의 기온에서는 탄소동화능력 저하로 고품질 비트의 수확이 어렵다고 한다
토양에 대한 적응성은 비교적 넓으며, 충분한 양분과 수분이 있으면 잘 자란다. 뿌리가 깊이 들어감으로 깊게 갈아주는 것이 좋다. 같은 과에 속하는 식물인 시금치와 근대의 뒷그루 작물로 비트를 재배하면 땅을 가리는 기지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알맞은 토양산도는 pH6.0~7.0이 좋다.
비트의 품종
비트 품종은 둥근 계통과 장근종으로 나뉜다. 둥근 계통은 주로 생식용으로 이용되고, 장근종은 주로 가공용으로 이용한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품종은 레드볼, 데드로이드다크, 골덴베트, 자이안트 및 하이레드볼 등이 있다.
생육일수는 조생종이 60일, 중생종은 70일, 만생종은 100일 이상 걸린다.
모양과 크기가 균일하고, 병에 강한 품종을 선택하도록 한다.
비트품종 | 조생종 | 중생종 | 만생종 |
품종별 재배기간 | 60일 | 70일 | 100일 |
수확시기 뿌리지름 | 3cm | 5cm | 7cm |
비트 씨앗 파종시기-심는시기
비트 씨앗의 파종시기는 기후 조건과 토양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비트는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며, 발아 적정 온도는 11℃, 생육 적정 온도는 13~18℃ 이다. 따라서 파종 시 토양 온도가 최소 9℃ 이상이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의 비트 재배방법은 봄, 여름 및 가을재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비트 재배 시기별 파종시기
봄 재배 비트 파종시기: 3월 초순 ~ 5월 하순에 파종하여 5월 하순 ~ 7월 하순에 수확합니다. 이 시기는 일반적으로 토양 온도가 적합하고 서늘한 기후 조건을 제공합니다.
여름 재배 비트 파종시기: 주로 고랭지에서 4월 초순 ~ 7월 초순에 파종하며, 6월 초순 ~ 10월 초순에 수확한다.
가을 재배 비트 파종시기: 8월 초순 ~ 9월 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 ~ 11월 하순에 수확한다. 이 시기에는 여름철 고온을 피하고 서늘한 날씨를 활용한다.
보통 당근이나 무처럼 뿌리 작물은 모종을 정식 하기보다는 직파하여 키우는 것이 뿌리의 생육도 좋고 모양도 잘 나와 상품성이 좋다.
보통 비트 씨앗 파종시기는 연중 파종이 가능하지만 중부지역 기준 봄, 가을 씨앗 파종을 하는 것이 실패 없이 비트를 키울 수 있는 방법이며 여름파종의 경우 주로 고랭지에서 실시한다.
비트 재배시기 별 파종시기 수확시기
비트 재배 시기 | 비트 씨앗 파종시기 | 수확시기 |
봄재배 | 3월초순~5월 하순 | 5월하순 ~7월하순 |
여름재배 | 4월초순~7월초순 | 6월초순~10얼초순 |
가을재배 | 8월초순~9월하순 | 10월초순~11월하순 |
밭 만들기
석회를 뿌려 흙의 산도가 PH가 6.5~7.0이 되도록 한다. 비트는 산성의 흙에 약하기 때문에 중요한 작업이다. 석회량은 1제곱미터에 150g, 어른의 손으로 3번 정도 기준이다.
흙 조절이 끝나면 다음은 비료를 뿌려준다. 심기 1주일 전에 비료를 뿌리는 것이 좋다. 1㎡에 퇴비 2㎏, 복합비료 100g 정도를 섞어 잘 뿌려 둔다. 이렇게 하면 비트가 자라기 쉬운 흙이 된다.
이랑을 만들기 전에 퇴비와 밑거름 비료를 넣는다. 이랑 만들기는 재배형태에 따라서 두둑과 고랑 폭을 결정하여 만드는데, 토양은 깊이 20cm 정도까지 잘 갈아주며, 뿌리가 깊이 뻗으므로 가능하면 깊게 잘 갈아주는 것이 좋다. 폭은 60cm, 높이는 10cm 정도가 이상적 이다. 간격은 20cm~30cm 정도로 씨를 뿌리면 서로 얽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비트 파종방법-심는방법
파종하기 전에 하룻밤을 물에 담그는 것이 발아를 촉진시키는데, 담그는 동안 2∼3차례 깨끗한 물로 바꿔준다. 파종할 때의 깊이는 2∼3㎝가 알맞다.비트는 이식재배도 가능한데 파종 후에 30일 이내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보통 직파재배를 하는데 한개 씨를 파종하면 1개 또는 2개의 싹이 나온다. 노지에 직파할 경우는 줄간격 30㎝에 약 2.5㎝ 간격으로 파종하면 된다. 씨앗 심는 깊이는 씨앗의 2 ~ 3배로 흙을 덮어주면 된다. 파종 후 1~2주 후에 발아하여 키가 2~7cm 정도 자라면 1차 솎음질을 해주고 3.3㎡당 약 80~90포기만 남긴다.
이른 봄이나 겨울재배시 하우스내 온도관리에 주의하여야 한다. 어린식물이 13℃ 이하의 저온을 만나서 추대가 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비트 재배 관리방법
종자의 발아온도는 20~30도가 좋으며 파종 후 8~14일이면 싹이 난다. 발아 후 4~10도의 저온에 15일 이상 두면 추대하나 12시간 이하의 단일조건 아래에서는 저온에 처해도 추대하지 않고 장일이 된 다음에 추대한다
키가 2~7cm 정도로 자라면, 둥근 계통의 비트는 약 10cm, 긴 계통은 15cm 간격으로 솎아준다.
일반관리는 알맞게 관수하며 1∼2회 중경과 잡초 제거를 실시한다.
비트는 수확까지 많은 비료가 필요하다. 비료가 끊어지면 생육이 나빠져 커지지 않는 등의 장애가 일어나 버린다. 2주일에 한 번을 기준으로 추비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붕소결핍증 예방을 위해 붕사를 적절히 사용한다.
비트 모종 심는시기와 방법
비트 모종 심는시기
비트는 씨앗 파종 외에도 모종을 통해 심을 수 있다. 모종 심는 시기는 봄과 가을로, 봄에는 4월 초부터 5월 초까지, 가을에는 8월 말부터 9월 초까지가 적기이다. 모종은 씨앗보다 발아와 초기 생장이 빠르기 때문에 좀 더 일찍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트 모종 심는방법
비트 모종을 심을 때는 모종 포트의 흙과 텃밭 흙이 평행하도록 심어야 한다. 줄 간격은 20~30cm, 포기 간격은 10~15cm로 유지하며, 심는 깊이는 모종 포트의 흙 높이와 동일하게 한다. 모종을 심은 후에는 물을 충분히 주어 뿌리가 잘 정착하도록 해야한다.
재배 관리 방법
비트 모종을 심은 후에는 주기적으로 물을 주어야 한다. 토양이 건조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뿌리가 비대해지는 시기에는 물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비트는 뿌리채소로서 잡초 관리가 중요하다. 모종을 심은 후에는 주기적으로 김매기 작업을 하여 잡초가 자라지 않도록 해야 한다.
비트 병충해
비트 재배 시 주의해야 할 주요 병충해는 다음과 같다
1. 잘록병
특징: 어린 묘가 시들거나 뿌리 부분이 부패하며 생육이 멈춘다.
예방 및 방제: 종자와 토양을 소독한다.
돌려짓기를 통해 병원균의 축적을 방지한다.
2. 갈색점무늬병
특징: 잎에 붉은색의 둥근 반점이 생기며, 심할 경우 잎이 말라 죽는다.
예방 및 방제: 병든 잎을 제거하여 확산을 막는다.
적절한 약제를 사용하여 방제한다.
3. 바이러스병
특징: 잎의 변색 및 기형이 발생하며, 수확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방 및 방제: 진딧물 등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해충을 방제한다.
건강한 종자를 사용하고, 감염된 식물을 제거한다.
4. 기타 해충
비트는 병충해가 비교적 적은 작물이지만, 발생 시 초기 방제가 중요하다. 끈끈이 트랩이나 천적 활용, 저독성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병충해를 예방하려면 위생적인 재배 환경을 유지하고, 적절한 돌려짓기와 약제 사용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트 수확시기
재배 중에 기온이 올라가면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봄 파종의 경우 기온이 높아지는 6월 하순 전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 비트는 건조한 것도 좋지 않고, 높은 온도에서도 잘 견디지 못한다. 여름 파종 시에는 10월부터 11월까지 수확이 가능하다.
잎이 7~8매, 뿌리 지름이 5cm ~ 7cm 정도가 되면 수확이 가능한데, 잎 전체를 잡고 뽑으면 비트가 딸려 올라온다.
비트잎 수확은 아주 심고 나서 3주 내외가 되면 쌈으로 이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된다. 이때 겉잎부터 수확한다.
'특약용작물재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채 모종 심는 시기 재배법 (0) | 2025.02.21 |
---|---|
유채꽃 파종시기 개화시기 (1) | 2025.02.16 |
산마늘(명이나물) 재배법 모종 심는시기,산마늘 씨앗 파종방법 (0) | 2025.02.14 |
눈개승마 재배법 모종 심는 시기 방법 (0) | 2025.02.13 |
더덕 씨앗 파종시기 재배 방법 (1)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