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약용작물재배법

유채꽃 파종시기 개화시기

by 황금섬 2025. 2. 16.

유채꽃 씨앗 파종시기 방법,제주도 유채꽃 개화시기,유채나물 먹는법

유채꽃 파종시기

 

유채꽃 파종시기와 방법

유채꽃은 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유럽과 중앙아시아 이다.

이 식물은 높이가 1~2m에 이르며, 꽃은 봄에 황금색으로 피며 꽃받침에 4개의 작은 꽃잎이 있다. 유채꽃은 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용도로도 널리 사용된다.

 

유채꽃에서 추출된 기름은 '유채기름'이라고 하며, 요리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 기름은 또한 바이오디젤의 주요 원료로도 사용되어, 환경 친화적인 연료로서의 역할도 한다.

 

 

유채꽃은 예로부터 쓰임새가 많아 선조들과 함께 했다. 종자는 기름으로, 잎은 쌈채소로, 향긋한 꽃은 장식이나 선물용 꽃꽂이로 사용될만큼 알게모르게 우리가 사랑하는 꽃이다. 유채꽃은 특히 선이 아름다운 필러 플라워로 화병에 길게 꽂아주면 멋스럽게 감상할수 있다.

 

재배환경

 

파종 및 개화 유채의 발아적온은 20~25℃, 최저온도 0~2℃, 최고온도는 38~40℃이다. 파종 후 약 3cm 정도 복토하면 발아가 양호하며 이보다 깊게 파종되면 발아가 불량하게 된다.

 

유채가 자라서 영양생장이 정지되고 생식생장기로 접어들면 꽃대가 나오는데 이것을 추대 라고 한다. 추대가 되면 곧바로 꽃이 피며 유채꽃은 오전 8~9시 사이에 가장 많이 피고 오후에 피는 꽃은 적다. 

 

유채는 겨울작물이지만 보리나 밀에 비하여 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 배수가 잘 되고 비옥한 양토가 좋지만 사질토나 점질토에서도 재배할 수 있으며, 맥류 재배가 곤란한 개간지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토양의 산도는 PH 5.0~7.0 이지만 알맞은 토양산도는 PH 5.5 이다.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는 월동이 되나 중북부지방에서는 월동이 되지 않아 봄 또는 가을 재배에 적합하며, 생육적온은 20~25℃ 이다.

제주도 유채꽃 개화시기는 최상의 개화 상태로 보려면 3월 중순이 가장 좋은 시기 이다.

 

 

유채꽃 파종시기

유채꽃 파종시기

 

유채꽃 씨앗은 가을과 봄에 파종할 수 있다. 

 

가을 유채꽃 파종시기: 남부 지방은 10월 초순~하순, 중부 지방은 겨울 월동이 어려워 3월 초순에 파종한다.

유채꽃 파종시기: 남부 지방은 2월 말, 중부 지방은 3월 초 적합. 봄에 파종하면 약 65~70일 후 개화한다

 

유채는 가을에 파종해 어린 식물체 상태로 월동하고 이듬해 봄에 개화하는 동계작물이다.

일반적인 유채꽃의 파종시기는 10월 상중순에 파종을 한다. 11월 상순에도 파종을 하지만, 그럴 경우 유채가 보통보다는 키가 작아진다.

 

유채는 월동이 가능한 작물로, 가을에 파종하면 겨울을 버틸 수 있다. 봄에 파종하는 경우에는 이른 개화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유채꽃의 봄 파종 시기는 전남·전북, 경남 등 남부지방은 2월 말, 경기, 충청, 경북 등 중부지방은 3월 상순이 적당하며 봄 파종에 적합한 유채품종은 이른 개화 품종인 ‘탐미유채’, ‘영산유채’, ‘한라유채’ 등이 있다.

 

꽃이 늦게 피는 품종은 ‘탐라유채’와 ‘내한유채’이며, 4월 20일부터 5월 5일 사이에 가장 많이 핀다. 이 둘을 섞어 심으면 4월 10일경부터 5월 5까지 유채꽃을 볼 수 있다.

 

유채꽃 파종방법

유채씨앗 뿌리기 2주 전에 3.3㎡(1평)당 유기질 비료를 2㎏ 정도 넣고 갈아엎으면 된다. 배추 등 다른 십자화과 작물을 심을 때 처럼 깊이갈이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물 빠짐이 잘되는 토양이어야 잘 자란다. 배수가 잘되는 땅이라면 두둑을 만 들 필요 없이 너비 1m 간격으로 물 빠짐 고랑을 만들면 된 다. 비닐멀칭도 필요 없다. 유채는 노지에서도 충분히 재배 할 수 있다.

 

 

유채꽃 파종시기

 

파종방법

 

1. 씨앗의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파종 전 하루 정도 물에 담가 둔다.

2. 밭에 폭 5cm의 골을 25cm 간격으로 만든다.
3. 구덩이에 씨앗을 1~2cm 간격으로 뿌린다.
4. 씨앗 위에 흙을 약 5mm 덮고 충분히 물을 준다.

씨앗이 너무 조밀하게 뿌려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관리 방법


물 주기
토양이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하며, 겨울에는 따뜻한 날 오전에 물을 준다.

솎아주기
떡잎이 올라온 후 포기가 너무 조밀하면 솎아준다.
솎아낸 유채는 나물로 활용 가능하다.

웃거름 주기
봄철 생육기에 퇴비와 깻묵 혼합물을 추가로 준다.
웃거름 양 (밭 1평 기준): 퇴비 7kg, 깻묵 1.4kg.

잡초 제거
가을 잡초가 유채와 엉키지 않도록 수시로 제거한다.

병충해 방지
배추과 채소를 재배했던 밭은 피하고, 좁은가슴잎벌레 피해를 예방한다.

 

유채꽃 개화 시기

 

유채꽃의 개화 시기는 파종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달라진다.

가을 파종: 9~10월에 파종한 유채는 이듬해 3월에서 5월 사이에 개화한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기온이 따뜻해 이르면 12월부터 개화가 시작되기도 하며, 3~4월이 절정이다.

봄 파종: 3~4월에 파종한 유채는 약 65~70일 후인 5월에서 6월 사이에 꽃이 핀다.

 

 

▶지역별 유채꽃 개화 시기

 

제주도: 1월 말~2월 초에 일부 지역에서 개화가 시작되며, 3월에 대부분 만개하고 4월까지 지속된다.
내륙 지역: 대체로 3월 중순부터 5월 사이에 개화한다. 온화한 지역에서는 더 이른 시기에 꽃이 피기도 한다.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유채꽃이 피는 곳으로, 특히 서귀포 지역은 1월부터 개화가 시작된다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 지역은 기온이 높아 개화 시기가 더 빠르고 길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유채나물 먹는법

유채나물 먹는법

 

추운 겨울 노지에서 자라고 있는 유채를 솎아서 삼겹살에 쌈으로 싸먹으면 많은 수분을 공급받으며 여름에 속성으로 자란 채소와 달리 약간 질긴듯하면서 고소하고 씹히는 맛이 좋으며 비타민C, 미네랄 등 영양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맛이 그만이다.

 

유채나물은 꽃을 피우기 직전에 수확하여, 꽉 찬 영양을 섭취할 수 있다. 비타민 A의 함유량이 배추의 12배, 지질은 오이의 32 배등 영양가치가 매우 높은 나물이다.

 

이처럼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대사 증후군 예방에 도움이 되고, 식이섬유가 많아 변비해소와 다이어트에 좋으며, 한방에서는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생리불순이나 자궁근종, 산후 몸조리 등 부인과에도 효과가 좋아 여성들에게 아주 좋은 나물이라고 할 수 있다. 

 

 

유채나물 무치는법

 

재료 : 데친 유채나물 400g, 된장 1큰술, 다진 마늘 1큰술, 간장 1 칸술, 참기름 1큰술, 대파 1/3개, 통깨 약간

 

1. 데친 유채 나물은 찬물에 헹군 후 물기를 꽉 짜준다.
2. 대파는 송송 잘게 썰어준다.
3. 그릇에 된장, 다진 마늘, 간장 그리고 참기름을 넣고 골고루 섞어준다.
4. 넓은 볼에 데친 유채나물과 섞은 양념, 대파를 넣고 조물조물 무쳐서 접시 또는 반찬용기에 담아 통깨를 살살 뿌려주면 완성이다.

 

제주도 유채꽃 개화시기,제주도 유채꽃 명소 축제

 

제주도 유채꽃 개화시기,제주도 유채꽃 명소 축제

제주도 유채꽃 개화시기,제주도 유채꽃 명소,제주도 유채꽃 축제유채꽃 개화시기유채꽃은 대체로 봄철에 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지역의 기후 조건에 따라 약간씩 달라질 수

korea.date.o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