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눈이콩 파종시기,약콩 심는 시기,쥐눈이콩 재배방법,
쥐눈이콩 재배방법: 약콩으로 불리는 검은콩의 모든 것
오늘은 작지만 영양이 꽉 찬 쥐눈이콩을 텃밭에서 재배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쥐눈이콩은 크기는 작아도 예부터 약재로 사랑받아 '약콩'이란 별칭을 가진 검은콩이에요.
밥에 넣어도 맛있고, 차로 끓여도 구수한 이 콩을 직접 재배해보는 재미, 놓치지 마세요.
쥐눈이콩 파종시기와 재배방법을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풀어볼게요!
1. 쥐눈이콩, 어떤 작물일까?
쥐눈이콩은 검은콩의 일종으로, 껍질은 까맣고 속은 파란빛이 도는 독특한 외관을 자랑해요.
'서목태'라고도 불리며, 일반 검은콩보다 작고 반질반질한 모습이 쥐 눈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죠.
안토시아닌 함량이 일반 콩보다 4배나 많아 건강식으로 주목받고 있고, 단맛이 강해 요리 활용도도 높답니다.
다만, 생육 기간이 길고 줄기가 쓰러지기 쉬운 약점이 있어 세심한 손길이 필요해요.
2. 언제 심어야 할까? 쥐눈이콩 파종 시기
쥐눈이콩은 발아에 적당한 온도가 중요해요.
씨앗이 싹을 틔우는 데 적합한 온도는 20~35℃로, 보통 25℃ 이상에서 물을 충분히 흡수하면 3~4일 안에 발아가 시작됩니다.
중부 지방 쥐눈이콩 파종시기: 5월 하순~6월 상순이 최적이에요. 너무 늦으면 생육 기간이 부족해질 수 있으니 6월 중순 전에는 심기를 마무리하세요.
남부 지방: 6월 중순까지도 가능합니다. 따뜻한 날씨 덕에 조금 여유가 있죠.
팁: 너무 일찍 심으면 잎만 무성해지고 꼬투리가 적게 달리니, 날씨를 체크하며 타이밍을 맞추는 게 중요해요.
3. 땅 준비: 쥐눈이콩이 잘 자라는 환경
쥐눈이콩은 물 빠짐이 좋고 보습력이 있는 토양을 선호합니다.
모래 섞인 양토가 이상적이고, pH는 6.0~6.5로 약산성을 유지하세요.
밑거름: 심기 2주 전에 30평당 질소 300g, 인산 300g, 칼리 340g(또는 유기질 퇴비 200~300g)을 뿌리고 밭을 갈아주세요.
이랑: 배수가 잘 되는 곳은 평이랑으로, 습기가 많은 곳은 높은 이랑을 만들어 심으면 장마철 피해를 줄일 수 있어요.
저는 작은 텃밭에서 재배할 때 폐목재로 만든 낮은 울타리를 이랑 주변에 세워봤어요.
통풍이 잘되고 줄기가 쓰러지는 걸 막아주는 효과가 있더라고요.
4. 씨 뿌리기: 심는 간격과 깊이
심는 방법은 밭 크기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어요.
심는간격: 이랑 간격 60~70cm, 주간 거리 15~20cm로 1열 심기.
넓은 밭이라면 두둑 폭 100cm에 줄 간격 40cm, 주간 25cm로 2열 심기도 좋아요.
깊이: 3~4cm가 적당합니다. 너무 얕으면 발아가 힘들고, 깊으면 싹이 땅 위로 올라오기 어려워요.
소독: 씨앗 1kg당 베노밀 수화제 4~5g을 묻혀 전염병을 예방하세요.
새 피해가 걱정된다면 티람 액상수화제 30ml를 섞어 그늘에서 말린 후 심는 걸 추천합니다.
5. 물과 영양 관리: 건강한 생육의 핵심
물주기: 싹이 날 때까지 흙이 마르지 않게 관리하고, 꽃이 피고 꼬투리가 맺히면 물을 조금 줄여 과습을 피하세요. 가뭄이 10일 이상 지속되면 스프링클러로 관수를 해주세요.
비료: 밑거름을 잘 줬다면, 꽃이 필 무렵(8월 초) NK 복합비료를 30평당 1~1.5kg 정도 추가로 뿌리면 영양이 보충됩니다.
주의: 장마철엔 물 빠짐을 체크하며 뿌리가 썩지 않도록 신경 쓰세요.
6. 순치기와 잡초 관리: 튼튼하게 키우기
순치기: 줄기가 30~40cm 자랐을 때 윗순을 잘라 곁가지를 늘려주세요.
꼬투리가 더 많이 달리고 쓰러짐도 방지됩니다. 꽃 피기 10일 전까지 1~2회 실시하면 충분해요.
북주기: 본잎 2~3장(1차), 4~5장(2차)일 때 흙을 덮어 뿌리를 튼튼히 하고 통기성을 높여주세요.
잡초 제거: 김매기로 잡초를 뽑으면 수확량이 50% 이상 늘어날 수 있어요.
비닐 멀칭을 하면 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편리하답니다.
7. 병충해 방제: 흔한 문제 해결법
노린재: 꼬투리가 맺힐 때 주로 나타나는데, 아침이나 저녁에 세베로 같은 살충제를 15일 간격으로 2~3회 뿌리세요.
무농약 대안: 주변에 코스모스를 심거나, 볶은 커피액을 뿌리면 노린재를 쫓는 데 효과적이에요.
저는 은행잎을 갈아 살포해보니 냄새로 쫓아내는 데 꽤 좋더라고요.
8. 수확시기: 쥐눈이콩의 결실을 즐기기
쥐눈이콩은 11월 초순, 첫 서리가 내릴 무렵 꼬투리가 노랗게 변하면 수확 시기예요. 꽃이 핀 뒤 60~70일 걸리고, 잎이 떨어진 후 7~10일 더 기다리면 딱 좋아요.
방법: 손으로 따거나 가위로 자른 뒤 햇볕에 3~5일 말려 탈곡하세요.
보관: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면 1년 내내 맛있게 드실 수 있습니다.
9. 활용법: 쥐눈이콩 더 즐기기
쥐눈이콩 차: 볶은 콩을 뜨거운 물에 3분 우려내면 구수한 차가 완성돼요. 남은 콩은 간장과 잣으로 버무려 반찬으로 활용 가능!
쥐눈이콩 식초: 물에 불린 콩을 식초에 2주 담가두면 다이어트용 초콩이 됩니다. 상큼한 맛이 일품이에요.
이 글은 국립식량과학원(nics.go.kr)과 농사로(nongsaro.go.kr)에서 최종 점검했어요.
국립식량과학원에 따르면 쥐눈이콩의 평균 수확량은 30평당 15~18kg인데, 순치기와 토양 관리를 잘하면 20% 정도 더 늘릴 수 있다고 하네요.
'텃밭가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울 양배추 파종(심는)시기 재배법 (2) | 2025.03.23 |
---|---|
브로콜리 재배방법 (심는시기,파종시기) (0) | 2025.03.23 |
서리태 파종시기,심는시기 재배법 (1) | 2025.03.22 |
고구마 모종 심는 시기, 심는 방법 간격 (중부,남부지방) (0) | 2025.03.22 |
고구마 심는 시기, 재배방법 완벽가이드 (1) | 2025.03.22 |